2023년 청년내일채움공제 변경 사항
- 업무관련
- 2022. 12. 29.
2023년 청년내일채움공제 사업 개요
1. 개편 내용(’23년 신규 가입자부터 적용)
ㅇ 기업 규모 및 업종 제한
- 기업 규모 : 5인 이상 중소기업 → 5인 이상 50인 미만 사업장
- 지원 업종 : 모든 업종(일부 제외) → 제조업, 건설업에 한함
ㅇ 기업자부담 확대
- 기업 규모에 따라 차등 부담 → 기업이 400만원 100% 부담
ㅇ 적립금 부담 비율 상향 조정
- 청년 부담 : 2년 300만원 → 2년 400만원
- 기업 부담 : 2년 300만원 → 2년 400만원
- 총 수령액 : 1,200만원(청년 400만원, 기업 400만원, 정부 400만원 납입)
ㅇ 사업 수행 주체 개편(운영기관 → 고용센터)
* ’22년까지 청년공제에 참여한 기업 및 청년에 대한 사후관리, 지원금 신청 등은 기존 운영기관이 계속해서 담당
2. 향후 일정
ㅇ ‘23년 지침 시달: ’23. 1. 13. 이내
* 세부 지원요건 및 신청절차는 추후 공지 예정
'업무관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2년 과학기술분야 R&D 대체인력 활용 지원사업 (0) | 2022.02.24 |
---|---|
2022년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지원대상 및 신청방법 (0) | 2022.02.23 |
2022년 청년내일채움공제 가입조건 / 기업부담금 등 정리 (0) | 2022.01.24 |
[연말정산] 2022년 연말정산(2021년 귀속 분) 간소화 서비스 자료 확인 (0) | 2021.12.31 |
2021년까지 청년내일채움공제 가입자 관련 내용 정리(만기, 퇴사, 해지) (0) | 2021.12.30 |